기업 부담에 밸류업 ‘자율 공표’ 가닥…외국인만 뜨겁다
(서울=연합인포맥스) 한상민 기자 = 정부가 발표하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세부 방안의 가닥이 잡혔다. 강제성 있는 공시가 아닌 자율 ‘공표’ 형식이다. 밸류업을 독려하는 기업 보고서 등을 공시로 할 때 발생하는 민간 기업들의 법적 부담과 반발이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2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오는 26일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 1차 세미나’에서 밸류업 프로그램 방안이 발표된다. 이번 발표는 한국거래소의 밸류업 장려 방안이 주된 내용으로 잡혔다. 기업설명(IR) 자료 등을 통해 기업이 주주환원책, 자본 효율화 방안, 주가순자산비율(PBR) 등 밸류업 개선 방안을 포괄하는 상세한 공표를 권고하는 식이다. 이후 거래소 차원에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이 언급된다. 시장에서는 공시 수준의 강제성을 띤 정책을 예상했다. 이에 발표 전부터 각종 기대감이 반영되며 저 PBR 관련 주가가 움직였다. 다만 밸류업 지표를 공표 수준으로 부담을 낮춰, 민간 기업의 밸류업 프로그램 참여를 우선 높이겠다는 정부의 의도가 관철됐다.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로는 밸류업 관련 지수와 상장지수펀드(ETF)를 통한 간접적인 패시브 자금 유입이 거론된다. 또한 기업의 세무조사 면제 혜택 등의 방안이 담기는 게 유력하다. 배당소득세율 인하나 분리과세 등의 세제 혜택은 이번 발표에 제외됐다. 법인세 세제 혜택 등은 올 상반기 내 열릴 기획재정부와의 후속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에서 다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상법 개정안과 관련된 구체적 내용도 제외된 것으로 전해진다. 거래소는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 후 기업 단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에 대응하고자 시장 부서와 공시, 상장 관련 부서 등을 모아… 더 보기 »기업 부담에 밸류업 ‘자율 공표’ 가닥…외국인만 뜨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