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UAM 대중화 앞당긴다…안전성 높인 교통관리 기술 공개
UAM에 디지털 트윈 접목해 최적 비행 경로·스케줄 제시 고도 300~600m에 맞춘 5G 항공 통신 서비스도 선보여 (바르셀로나=연합인포맥스) 김학성 기자 = KT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4’에서 국내 도심항공교통(UAM)의 대중화를 앞당길 교통관리시스템을 선보였다고 26일 밝혔다. UAM은 도심 교통 체증을 해결할 미래 교통수단으로 주목받는다. 다만 본격적인 상용화에 앞서 철저한 안전성 검증이 선결 과제로 꼽힌다. KT는 안전한 UAM 운항을 위해 차별화된 교통관리시스템과 항공망 관련 기술을 개발했다. MWC 2024 KT 전시장을 찾은 관람객들이 UAM 서비스를 체험하는 모습[출처: KT] KT의 지능형 UAM 교통관리시스템(UATM)은 교통에 디지털 트윈을 접목했다. 디지털 트윈은 실제 현상이나 사물을 쌍둥이처럼 구현한 가상 모형을 통해 현실의 의사결정을 돕는 기술을 말한다. KT의 UATM은 현실의 UAM 운항 상황을 디지털 환경에 옮겨 데이터 분석과 시뮬레이션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토대로 UAM 운항 전 과정의 안전을 강화할 수 있다. 아울러 도심지의 고층빌딩과 군사시설 등 비행금지구역, 유동 인구 등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적의 경로를 제시하는 알고리즘도 갖췄다. 공군사관학교와 협력해 비행 데이터를 공유하고 조종사의 가상 비행을 거친 결과다. 비행 승인 단계에서는 UATM이 조종사가 제출한 비행 계획을 버티포트 가용성과 상공 혼잡도, 기상 상태 등을 바탕으로 실시간 분석해 스케줄을 조정한다. 비행 중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119와 조종사, 버티포트에 즉시 상황을 알리고 최적의 비상 착륙 위치를 추천해 골든타임을 지킬 수 있게 돕는다. KT는 수도권에서 먼저 검증을 진행한 뒤 전국으로 서비스를… 더 보기 »KT, UAM 대중화 앞당긴다…안전성 높인 교통관리 기술 공개